이 번에 공부할 내용은
Sequential data structure 에서 List 또 그 속에서 Array 를 이용한 Array List를 직접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1. Array List 의 User Defined Function
역할 |
함수 이름 |
Input Value |
Output Value |
리스트 생성 |
createList() |
int : 최대 원소 갯수 |
list * : 만들어진 리스트 반환 |
리스트 삭제 |
deleteList() |
list * : 삭제할 리스트 |
N/A |
원소 추가 가능 여부 확인 |
isFull() |
list *: 확인할 리스트 |
int : True or False |
원소 추가 |
addElement() |
list * int : 추가할 index 번호 listNode * : 추가할 원소 |
int : True or False |
원소 제거 |
removeElement() |
list * |
int : True or False |
리스트 초기화 |
clearList() |
list * |
N/A |
입력 된 원소 갯수 반환 |
getListLength() |
list * |
int : 갯수 반환 |
원소 반환 |
getElement() |
list * |
listNode * : 반환된 원소 |
* index 번호는 원소의 시작을 0 번으로 봄.
즉, 전체 List의 길이가 10 일 경우, List가 가득 찼다면 마지막 index 번호는 9가 됨.
* listNode 는 원소로 사용되는 구조체로 여러가지 형의 자료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고안한 구조체.
* 모두 출력하는 displayList() 라는 함수도 있음.
자료 구조에 대한 내용은 여러 부분으로 쪼개서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1-3은 ArrayList 의 주요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너무 길면 연재하기가 힘들어서요 ㅜㅜ 자주 종종 올릴게요
?여러분의 댓글은 제게 매우 큰 힘이 됩니다!!!!?
'그 외 대학 공부 > 자료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구조_1-1, List의 이해 (0) | 2012.07.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