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외 대학 공부 썸네일형 리스트형 DCT - libjpeg 내용 포함 JPEG(보통 ‘제이펙’이라고 읽는다.)은 높은 압축 효율 때문에 GIF와 함께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그래픽 파일 포맷이다. JPEG은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이라는 위원회에서 정한 그래픽 이미지 압축에 관한 표준을 의미한다. JPEG이라는 이름도 이 위원회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동화상 압축에 관한 표준이 만들어졌는데 그것이 바로 MPEG이다. MPEG은 Motion Picture Experts Group에서 만든 표준이다.) JPEG 표준은 ISO(국제표준화기구) 10918-1에 정의되어 있다. JPEG 표준은 그래픽 이미지 압축에 대한 표준만 정해놓았을 뿐 구체적인 구현 방법은 정의하고 있지 않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BMP, PCX,.. 더보기 자바 - 값을 입력받은 뒤 배열에 저장하고, 소팅을 하여 출력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star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5];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for(int i = 0; i < 5; i++) { System.out.println(i+" index의 값을 입력하세요 : "); arr[i] = scan.nextInt(); } int temp = 0; //숫자를 큰 순서부터 나열한다.(소팅 - 버블 소팅을 사용하였다.) for(int i = 0 ; i < 5 ; i++) { for(int k = i ; k < 5 ; k++) { if(arr[i] < arr[k]) { temp = arr[i]; a.. 더보기 자료 구조_1-2, List - Array List의 구현 이 번에 공부할 내용은 Sequential data structure 에서 List 또 그 속에서 Array 를 이용한 Array List를 직접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1. Array List 의 User Defined Function 역할 함수 이름 Input Value Output Value 리스트 생성 createList() int : 최대 원소 갯수 list * : 만들어진 리스트 반환 리스트 삭제 deleteList() list * : 삭제할 리스트 N/A 원소 추가 가능 여부 확인 isFull() list *: 확인할 리스트 int : True or False 원소 추가 addElement() list * int : 추가할 index 번호 listNode * : 추가할 원소 int : Tru.. 더보기 자료 구조_1-1, List의 이해 리스트 -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여러 개의 자료가 일직선으로 서로 연결된(Sequential) 선형 구조를 갖는 자료 구조의 통칭 ex) 폴더 이름 저장 1. 리스트의 종류 1) 배열 (list의 가장 직관적인 방법)- 일반적인 배열과 같음. container의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하여야 함.- list의 중간에 자료를 지울 때, 자료를 지운 index의 뒷 부분부터 앞으로 한 칸씩 미뤄야 함.- 반대로 자료를 추가할 때는 해당 index의 원소부터 오른쪽으로 한 칸씩 미룬 뒤 해당 index에 원소를 추가해 야 함.2) 포인터를 이용한 list- linked list라고 함.- 각각의 원소에는 다음 index를 나타내는 pointer값이 있음.(양방향 linked list의 경우 이전.. 더보기 컴퓨터 통신 - DataLink Control Protocol의 flow control, error control - 1 컴퓨터 통신 기말고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ㅎㅎㅎㅎ 위 부분은 datalink control protocol 에서 flow control 부분인데요. flow control을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공부하기에 앞서 flow control 부분을 공부할 때는 error가 없는 상황이라 가정하겠습니다. 알아야 할 개념 먼저 설명을 드리자면, Transmission Time - sender에서 프레임이 처음부터 끝가지 송신되는데 걸리는 시간인데용 Tx = L/R (L = Length of packet in bits(bits), R = rate(bps)) 입니다. Propagation Time - 데이타 비트가 링크를 통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Tp = d/v( d= the channel length ,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