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 외 대학 공부/자료 구조

자료 구조_1-2, List - Array List의 구현 이 번에 공부할 내용은 Sequential data structure 에서 List 또 그 속에서 Array 를 이용한 Array List를 직접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1. Array List 의 User Defined Function 역할 함수 이름 Input Value Output Value 리스트 생성 createList() int : 최대 원소 갯수 list * : 만들어진 리스트 반환 리스트 삭제 deleteList() list * : 삭제할 리스트 N/A 원소 추가 가능 여부 확인 isFull() list *: 확인할 리스트 int : True or False 원소 추가 addElement() list * int : 추가할 index 번호 listNode * : 추가할 원소 int : Tru.. 더보기
자료 구조_1-1, List의 이해 리스트 - 자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여러 개의 자료가 일직선으로 서로 연결된(Sequential) 선형 구조를 갖는 자료 구조의 통칭 ex) 폴더 이름 저장 1. 리스트의 종류 1) 배열 (list의 가장 직관적인 방법)- 일반적인 배열과 같음. container의 크기를 일정하게 설정하여야 함.- list의 중간에 자료를 지울 때, 자료를 지운 index의 뒷 부분부터 앞으로 한 칸씩 미뤄야 함.- 반대로 자료를 추가할 때는 해당 index의 원소부터 오른쪽으로 한 칸씩 미룬 뒤 해당 index에 원소를 추가해 야 함.2) 포인터를 이용한 list- linked list라고 함.- 각각의 원소에는 다음 index를 나타내는 pointer값이 있음.(양방향 linked list의 경우 이전.. 더보기